한전 전력연구원,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연구 착수해
상태바
한전 전력연구원,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연구 착수해
  • 이준희 기자
  • 승인 2020.09.25 2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세먼지 조대화 및 집진 개념도
미세먼지 조대화 및 집진 개념도

한전 전력연구원(원장 김태균)은 25일,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와 함께 미세먼지의 크기를 키워 쉽게 포집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PM10(입자의 크기가 10㎛ 이하인 미세먼지, 2.5㎛ 이하는 PM2.5로 칭함) 이상의 먼지는 전기집진기에서 99.9 % 이상의 효율로 제거하고 있다.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은 별도의 제거장치로 쉽게 제거됨. 하지만 일부 PM10 이하의 미세먼지는 전기로 먼지를 포집하는 설비에서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전력연구원은 전기를 사용해 입자의 운동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 충돌로 크기를 키워 집진 효율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인 “입자응집 조대화 장치”를 개발할 예정이다. 

크기가 커진 먼지 입자는 집진판에 쉽게 포집되어 미세먼지 배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할 설비는 기존의 전기집진기 일부 개조 후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향후 국내 발전소 현장에 확대적용이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연구원은 파일럿 규모의 실험을 통해 공정설계 등의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1년까지 250MW 급 발전소에 시범 설치 및 실증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실증 후 국내 500MW급 표준화력발전소에 설치하여 공정 최적화와 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며 국내 화력발전소 12기에 적용 시 연간 약 152톤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력연구원은 “입자응집 조대화 장치”가 정부가 2019년 발표한 “2024년까지 미세먼지 35% 이상 감축”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은 연간 8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앞으로 발전사와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전력그룹사는 앞으로도 미세먼지 측정 및 평가, 제거, 관리 전 과정에 걸쳐 연구를 확대하여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