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 대한중환자의학회 조기대응시스템 연구회와 대한중환자의학회 대전충청지회 공동심포지엄
상태바
충남대병원, 대한중환자의학회 조기대응시스템 연구회와 대한중환자의학회 대전충청지회 공동심포지엄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5.12.16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S 대전 = 이준희 기자]

의학의 발전은 컴퓨터 메모리 능력의 확장만큼이나 눈부시다.

지난 10년 간 대장암 등 주요 암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고 해마다 새로운 약제가 개발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 덕분에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게 되고 생존기간은 연장될 수 있지만 입원 환자의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그만큼 각종 성인병을 비롯한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가 늘면서 중증 환자의 비율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증 환자들의 병원 사망률을 낮추고, 입원 기간 이들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노력하는 의료진들이 있다.

‘조기대응팀’이 그들이다. ‘조기대응시스템’(Rapid response system)은 일반 병실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악화될 위험징후가 있는 환자를 보다 일찍 찾아내어 중환자실로 이송하기 전부터 집중치료를 시작함으로써 입원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대한중환자의학회(회장 김동찬) 조기대응시스템 연구회와 대전충청지회가 공동으로 오는 12일 토요일 대전 충남대학교병원 대강당에서 “환자 안전과 조기대응시스템”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조기대응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병원과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최근 조기대응시스템을 운영하여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 울산대학교병원과 충남대학교병원의 경험을 공유하고, 해외의 운영사례와 정책, 국내 조기대응시스템 운영의 현실을 되짚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조기대응시스템 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는 삼성서울병원 중증치료센터장 서지영 교수는 “중증 환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관리와 환자안전이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며 “숙련된 중환자 치료를 위한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적은 인력으로 많은 환자를 감당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조기대응시스템은 현실적인 보완책이 될 수 있다.”고 조기대응시스템의 의미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훈련된 중환자의학 전문의와 간호사 등 적절한 인력과 장비를 비롯하여 병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심포지엄을 공동 주최한 대한중환자의학회 대전충청지회장 신용섭 교수(충남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는 “병원의 적극적인 지원은 물론 병원 구성원 모두 환자안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만 조기대응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적절한 지원과 전담인력의 충원 없이는 이미 과중한 업무를 감당하고 있는 의료진의 업무효율을 저해하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그렇다면 선진국에서는 이미 10여년전부터 운영하고 있으면서 입원환자의 심폐정지를 40~50%까지 감소시키고 있는 이러한 시스템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홍상범 교수는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조기대응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은 연방정부 또는 자치정부, 심지어 보험업계 차원에서 조기대응시스템을 병원들이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게끔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해오고 있다.”고 해외사례를 제시하고, “의료 질 향상과 환자안전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의료인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민적 관심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전국에서 20여개 병원의 의료진들이 사전 등록을 신청하여 실제 조기대응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와 세월호 등을 겪으며 어느 때보다 ‘안전’에 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위기의 순간에 헌신하는 의료진들의 노력에 많은 국민들이 호응하였듯이 보이지 않는 음지에서 ‘환자안전’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노력이 정책적 관심과 지원으로 연결되어 모든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