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 뉴스밴드 = 이준희 기자]
충청남도 농업·농촌 균형발전은 ‘농업의 본질적인 농촌성을 복원해가는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제안이 나왔다.
여전히 균형발전사업은 하드웨어에 집중되어 있어 정작 농촌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 수혜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 노동력, 자본·시설의 3가지 축을 중심으로 한 농업·농촌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다.
최근 충남연구원(원장 유동훈)은 “충청남도 서남부권 농업·농촌 균형발전 전략 구상과 정책과제”를 주제로 연구원에서 워크숍을 가졌다.
이날 발제에 나선 충남연구원 강마야 연구위원은 “충남 농업·농촌분야 균형발전 전략은 △토지(농지전수실태조사 및 데이터 구축) △노동력(청년농 단계별 육성 및 생활정착지원 종합정책) △자본 및 시설(맞춤형, 보급형 등 다양한 스마트팜 사업 추진) 등을 중심으로 구상해 볼 수 있다”며 “또한, 농민을 위한 촘촘한 소득안전망 구축은 물론 농촌에 거주하는 사회적 취약계층 통합돌봄과 같은 사회안전망 정책도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충남지역 농지면적 중 50대 이하가 소유한 비중은 30.3%인 반면, 60대 이상이 69.7%를 차지하는 등 고령의 농민이 많은 편”이라며 “청년농업인 유입과 정착을 위해서는 통합컨트롤이 가능한 행정조직을 구축해 체계적인 정책관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나선 마을학회 일소공도연구소 구자인 소장은 “충남 15개 시군 간 불균형뿐만 아니라 시군 내 읍 소재지와 면 단위 이하 마을 간 불균형도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간 정부보조사업이나 공모사업을 통한 지원은 읍면계획이 부재한 상황에서 시군계획을 따라가다 보니 정책의 지속가능성과 현장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공동체 세움 협동조합 복권승 이사는 “현재 스마트팜은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선택의 폭이 좁은 초기 시장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며 “서남부권의 균형발전 전략은 귀농귀촌, 사회적경제, 교육사업, 6차산업화, 관광·문화자원 등 농업과 연계한 부가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로컬리즘에 기반한 정책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충남연구원은 지난해 말부터 분야별 연구진들이 한데 모여 충청남도 균형발전을 위한 TF 활동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으며, 12월 중에 ‘보건환경부문’을 주제로 워크숍이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