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S, 뇌질환 약물 치료 효과 실시간으로 확인
상태바
KRISS, 뇌질환 약물 치료 효과 실시간으로 확인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5.06.18 2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S 대전 = 이준희 기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신용현) 나노바이오측정센터 이태걸 박사팀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정훈 교수팀이 뇌질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6월호에 게재됐다.

뇌혈관에는 뇌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인 혈액뇌장벽이 있다. 혈액뇌장벽은 혈관을 타고 온 염증과 세균 등이 뇌 조직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 치매, 뇌종양 등을 예방한다.

혈관 내 물질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흡수되는 정도를 혈관투과성이라 하는데, 혈액뇌장벽의 혈관투과성이 노화나 질병 등으로 높아지게 되면 뇌에 세균 등 독소들이 침투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혈관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약물로 인한 감소 효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약물 개발의 속도가 더딘 실정이다.
KRISS-서울대 공동연구팀은 혈관을 구성하는 혈관내피세포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뇌질환 치료 약물 투입 시 나타나는 혈관투과성 감소효과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데 성공하였다.

자체 개발한 금 나노기판 안에 인위적으로 혈관투과성을 높인 혈관내피세포를 만들고 전류를 흘려보내면 세포가 가지는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 안에 뇌질환 치료 약물을 넣고 다시 측정하면 시간대별로 변하는 세포의 정전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정전용량이 1.3 패럿(farad)인 세포에 혈관투과성을 높이면 72시간 후 1.17 패럿까지 떨어진다. 연구팀은 동일한 환경 속에서 치료 약물을 추가하면 종전 수치인 1.3 패럿으로 비슷하게 유지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으며 그 변화치는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정전용량이 높아지는 것은 전기(전하)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세포의 구멍이나 간격이 약물로 인해 좁아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세포의 혈관투과성 정도는 낮아지게 된다.

기존에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형광물질로 표시한 후, 약물로 인한 세포막 변화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이 방식은 약물 투입 후, 2~3일 후의 세포의 변화를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화 정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힘들었다.

연구팀은 기판 16개에 각각 세포를 동시에 배양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약물 효과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약물에 대한 검사도 가능하다. 연구팀은 향후 기판의 수를 늘려 판별속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KRISS 이태걸 박사는 “그동안 혈관투과성을 조절하는 약물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실시간 검사할 방법이 없었는데, 세포가 가진 정전용량 측정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뇌질환 약물의 효과를 사람에게 적용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뇌질환 약물 선별검사에 활용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