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보건복지협회, '지방소멸 체감도 및 우선지원책' 설문조사 결과 발표
상태바
인구보건복지협회, '지방소멸 체감도 및 우선지원책' 설문조사 결과 발표
  • 이준희 기자
  • 승인 2022.10.25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 88% 지방소멸 위기 체감
10월 28일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 개최
지방소멸 위기 해결가능성에 대해 60.3% 부정적, 해결 위해 지방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우선 필요

[대전 뉴스밴드 = 이준희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 지방소멸 체감도 및 우선지원책-인포그래픽
[인구보건복지협회] 지방소멸 체감도 및 우선지원책-인포그래픽

인구보건복지협회(회장 김창순)는 인구구조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지역의 매력발굴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을 10월 2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로컬, 내일-경북편’ 진행에 앞서 실시된 이번 조사는「지방소멸 체감도 및 우선지원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10월 11일부터 18일까지 8일 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했으며, 2,067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 본 설문은 온라인 이벤트와 연계하여 간이 설문조사로 진행함

◈ 응답자 81.2%가 지방소멸 단어(의미) 인지

◈ 응답자 88%가 지방소멸 위기 체감

⇨ 수도권 거주자 86.3%, 비수도권 거주자 90.2% 지방소멸 위기 느껴

지방소멸 단어 인지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2%가 지방소멸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86.9%)이 여성(76.6%) 보다 지방소멸 단어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82.9%)와 40대(81.9%)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방소멸 위기를 체감하는지에 대해서는 88.0%가 체감한다(매우 체감한다+어느정도 체감하는편이다)고 응답했으며,

비수도권 거주자(90.2%)가 수도권 거주자(86.3%) 보다 지방소멸 위기를 더 높게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방소멸 위기 체감 이유로 ‘지방인구의 고령화 현상’ 가장 높게 꼽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 양극화’에 대해서는 비수도권 거주자(29.0%)가 수도권 거주자(20.4%) 보다 더 높게 체감

지방소멸을 체감하는 이유로 지방인구의 고령화 현상(28.0%)을 가장 높게 꼽았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양극화(24.1%), 수도권의 취업난 현상(17.5%), 지방대학의 정원 미달(14.0%), 수도권의 부동산가격 상승(11.5%), TV 뉴스, 기사에 많이 언급되어서(4.1%), 기타(0.8%)순으로 응답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양극화에 대해서는 비수도권 거주자(29.0%)가 수도권 거주자(20.4%)보다상대적으로높게 체감했으며.

기타 항목에는 초등학교 통폐합, 줄어드는 학생수, 지방의 젊은 인구 감소 등이 지방소멸 위기 체감 이유로 언급됐다.

◈ 5명 중 3명, 지방소멸 위기 해결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

⇨ 다른 연령대에 비해 20대(66.8%)와 30대(63.7%)의 부정 응답율 높아

◈ 72.5%가 지방소멸 위기가 10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

⇨ 50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에 수도권 15.7%, 비수도권 18.9%

지방소멸 위기 해결 가능성에 대해서는 60.3%(매우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부정적이며, 특히 20대(66.8%)와 30대(63.7%)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부정 응답율이 높았다.

* 지방소멸 해결가능성 부정 응답율

⇨ (20대이하) 66.8% > (30대) 63.7% > (40대) 54.4% > (50대) 46.8% > (60대이상) 45.7%

응답자의 72.5%가 지방소멸 위기가 10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문항별로는 향후 10년 이상~20년 미만(30.5%), 5년 이상 10년 미만(23.1%), 20년 이상 30년 미만(17.1%), 50년 이상(17.0%), 30년 이상 50년 미만(7.9%), 5년 미만(4.4%)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소멸 위기가 향후 50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에는 비수도권 거주자(18.9%)가 수도권 거주자(15.7%) 보다 더 높게 선택했다.

◈ 지방소멸 문제 해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지방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방 정주여건 개선(인프라구축), 행정수도 지방이전 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포스터
[인구보건복지협회]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포스터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2명 중 1명이 지방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53.8%)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지방 정주여건 개선 - 인프라구축(16.1%), 행정수도 지방 이전(12.7%),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지원 강화(7.9%), 지역 특색사업 개발(6.4%), 지방청년 자립지원(2.0%), 기타(1.1%)로 응답했다.

거주 지역별로는 ‘지방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수도권 51.8%, 비수도권 56.6%)과 ‘행정수도 지방 이전’(수도권 11.8%, 비수도권 14.0%)에는 비수도권 거주자가, ‘지방 정주여건 개선’(수도권 18.4%, 비수도권 12.9%)에는 수도권 거주자가 높게 응답했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역의 매력을 발굴하고, 지방소멸 등 인구문제에 대한 이슈 제기를 위한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을 10월 28일 오후 3시 경상북도 도청에서 개최한다.

‘로컬, 내일’의 세 번째 지역인 경상북도는 23개 시·군 가운데 16개 시·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해마다 1만 5천 명 정도의 인구가 감소되고 있다.

인구유입을 위해 2019년부터 의성군 안계면에 이웃사촌 시범마을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 마이니찌 신문을 비롯해 여러 매체에 인구감소 극복 대표모델로 국내외에 소개되고 있다.

로컬, 내일’ 경북편에서는 경북의 인구문제(지방소멸 등)를 고민하는 도민들과 일(work)과 생활(life)의 균형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경상북도만이 가진 매력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패널에는 인구보건복지협회 박기남 사무총장을 비롯해 경상북도 인구정책과 김준태 팀장, 로컬 브랜딩 회사 ‘메이드인피플’ 설동원 대표, 행복의성지원센터 이웃사촌팀 이은주 팀장, 사진 스튜디오 ‘단듸랩’ 허진수 대표, 인구문제를 생각하는 대학생 모임(Top-Us) 윤하진 학생이 참여한다.

지역정착 생생토크 ‘로컬, 내일’ 경북편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협회 유튜브) https://youtube.com/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보건복지협회 김창순 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인구소멸 지역이었던 의성이 청년 유입인구가 늘고 있는 비결과 경상북도가 가진 숨은 매력이 다른 지역에 알려지길 바라며, 지방소멸 위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