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큐브 대전시민에 혜택 돌아가야”
상태바
”스튜디오 큐브 대전시민에 혜택 돌아가야”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7.09.01 0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론회 패널, 스튜디오큐브 대전시로 운영주최 돼야 '한목소리'

[MBS 대전 = 이준희 기자]

대전문화연대가 주관하고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주촤한 ‘스튜디오 큐브’ 개관에 따른 대전영상산업 발전방안‘ 토론회가 31일 오후 대전 NGO지원센터에서 열렸다.

박종선 오렌지나인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는 박한표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의 개회사와 박철웅 목원대 TV영상학부 교수의 발제 그리고 토론으로 이어졌다.

박은숙 대전문화연대공동대표. 

토론회 좌장으로는 박은숙 대전문화연대공동대표가 패널로는 전문학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 정초신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영상사업단장, 강민구 대전아트시네마 대표, 성낙원 대전영화인협회장,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위원장이 참여했으며 대전시에서는 문화산업과 이영근 사무관이 참관했다.

다만 스튜디오 큐브의 운영주체인 한국콘텐츠진흥원 측 담당자들의 모습은 토론회에 보이지 않았으며 이충희 바른정당 대전시당 위원장, 김태훈 서무처장, 홍정민 대변인 등 바른정당 당직자들이 참관해 눈길을 끌었다.

박철웅 목원대 TV영상학부 교수.

주제발제에서 박철웅 목원대 교수는 “대전의 스튜디오 큐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시설과 운영주체 관련 문제점을 넘어 상호 협력해야하며 해외시장을 대비한 특화계획을 수립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또 “미국 할리우드나 뉴질랜드 웰링턴시의 스튜디오 제작을 예를 들면서 웰링턴시의 경우처럼 정부와 지자체 지역민의 적극적인 의지를 통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지닌 클러스터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학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

전문학 대전시의회 산건위원장은 “이 사업은 엑스포재창조사업 일환의 사업이었다. (운영주최가)문화체육관광국으로 이관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면서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예전엔 강했는데 기관명에 '정보'짜가 붙으며 약화됐다. 조직개편을 고민해 봐야한다”고 조직개편을 주문했다.

이어 “스튜디오큐브는 대전의 금싸라기 땅에 30년 무상임대다. 이 시설이 대전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혜택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전시에서 3명이 큐브에서 일 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 시에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첫 번째로 대전영상산업 기업을 유치해야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대전시에 입주해야하고 유능한 인재를 지역대학에서 배출하고 특수영상산업관련 창업을 권장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두 번째는 대전은 영상산업이 잘 준비돼 있다. 컨벤션 산업과 연계하면 좋을 것 같다”면서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이제는 앞장서야 할 때가 됐다. 조례도 재개정할 예정”이라며 의회차원에서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초신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영상사업단장.

영화감독 출신인 정초신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영상사업단장은 “큐브가 개관해서 얼마만큼 도움이 될까란 질문을 던져본다. 남양주 스튜디오에서 '귀천도'를 찍을 때가 기억 난다” 며 “남양주가 영상 산업에 어떤 발전을 주었는지 생각해보자”고 화두를 던졌다.

정 단장은 이어 “스튜디오 큐브와 대전영상산업 발전은 대전시가 얼마만큼 영상산업에 의지가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며 “진흥원 영상사업단은 제작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대전만 (영화제작에)지원해 주는 것은 아니다. 다른 도시도 지원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56편의 영화가 지원을 받아 대전에서 제작됐다. 141억원 정도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 그는 “이미 큐브는 올해 연말까지 대관이 모두 끝난 상태”라며 출발이 좋음을 밝혔다.

정 단장은 “대전이 대전영상산업 메카가 될 것을 확신한다. 이정도의 사이즈는 지금까지 본적이 없다”며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았다.

하지만 부정적인 견해도 만만치 않게 나왔다.

강민구 대전아트시네마 대표.

강민구 대전아트시네마 대표는 “몇년 전에 제임스카메론 제작팀이 장밋빛 청사진을 대전에 제시한 적이 있었다. 대한민국 국적을 갖고 있다고 모두 대우를 받고 사는 것은 아니라면서 스튜디오 큐브 문제도 대전에 살면서 대전시민이 과연 혜택을 받겠는가라고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대전에서는 영상산업 육성에서 정상적인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브레인이 없다. (할리우드 영화프로덕션)마블 스튜디오처럼 영화를 만들 수 없다”며 “대전에서 영화하려는 사람들은 중앙으로 간다. 대전시의 그동안의 시책과 더불어 30년 무상임대는 문제가 있다”며 대전시의 정책을 꼬집었다.

성낙원 대전영화인협회장.

성낙원 대전영화인협회장은 “낮은 제작단가와 열악한 (인프라)환경으로 인해 방송장비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게임센터는 5곳이 입주해 있고 임대료도 전액지원한다” 며 “그동안 대전에도 영상제작사들이 있었고 지역에서 터를 닦아 온 회사들이 있었는데 지원해 준 것이 과연 무엇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대구영화인협회는 대구시에서 3억과 기타 지원을 받아 10억원의 제작비로 제작한 영화 '쇠파리'가 있다"고 선례를 밝히면서 ”대전은 영화의 도시라고 말만 할 것이 아니다. 덧붙여 스튜디오 큐브의 운영주최는 대전이 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위원장.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원장은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은 대전시민의 자긍심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골치덩어리가 된 상태다”라며서 “대기업의 땅따먹기가 됐다. 또한 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정책이 바뀌는 시험공간이 됐다”며 안타까워했다.

이 기획원장은 이어 “엑스포과학공원은 1만8천개의 일자리가 생기고 1조2천억원이 발생하며 67만명이 방문한다고 했지만 현실은 어떠한가”라면서 “스튜디오 큐브가 이런 똑같은 결과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있는가, 운영주최에 대전시가 포함돼야 한다”며 강조했다.

또한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스튜디오 큐브에 대한 로드맵을 만들고 중심축이 돼야한다”고 덧붙였다.

대전시는 문화산업과 이영근 사무관.

토론회의 마지막 순서인 종합토론시간에 박은숙 좌장의 요청으로 발언하게 된 대전시 문화산업과 이영근 사무관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튜디오 큐브에 대한)상황을 지켜보고 있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은 보강하겠다”면서 “문체부와는 업무협상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진흥원 전문가와 함께 발전방향을 모색하겠다”고 의견을 말했다.

한편 스튜디오 큐브는 800여억원을 들인 국책사업으로 중·대형 스튜디오 4개실, 특수시설 스튜디오 1개실 등 모두 6개의 스튜디오를 갖추고 오는 9월 25일 개관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