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시철도 2호선 관련, "염홍철 시장 최종 결정만" 남아
상태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관련, "염홍철 시장 최종 결정만" 남아
  • 송석선 기자
  • 승인 2013.05.09 2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 원장 "어떤 선택이던 평생 욕먹을 일...차기 민선으로 건의예정"

[MBS대전 = 송석선 기자]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장.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 관련, 염홍철 대전시장 최종 결정만 남았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어떤 식으로 결정을 내려도 책임론이 따라 진퇴양난(進退兩難)의 위기에 봉착했다. 

시민사회단체와 대전시간에 팽팽하게 대립관계를 보여왔던 대전도시철도 2호선에 대해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 원장은 지상과 노면 건설 방식을 놓고 시민단체와의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해 왔지만,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이와 관련 염홍철 대전시장이 정례 브리핑 하루 앞서, 8일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 원장은 "조만간 염홍철 대전시장에게 노면철과 고가철 어떤 방식으로 선택하더라도 평생 욕먹을 일"이라며 "차기로 일임해 줄 것을 강력하게 건의할 예정"이라고 <MBS> 전화통화에서 입장을 전달한 가운데 도시철도 건설 사업을 포기할 공산(公算)이 높아 졌다.

그 동안 대전발전연구원은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을 두고 저심도방식과 노면철, 고가철을 도입 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 등의 의견를 수렴해 왔었다. 아울러 적용성 검토와 건설방식간의 편의성, 환경성, 건설비 등의 주요지표를 비교하여 전문가와 시민단체, 시민의 다양한 의견의 목소리를 청취했었다.

9일 염 시장은 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7월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해야 내년에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7월에 예상한 것이지 더 본질적인 것은 추경예산 확보가 아니라 객관적 절차에 의해 적당한 대안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며 "7월 추경예산 전에 모든 것이 진행되면 가장 좋지만 그렇치 못하면 시간 연장이 불가피하다"라고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그는 "지상 고가로 예타를 신청한 것은 사실이지만, 20% 범위 내에서 노면트램으로 바꿀 수 있다"며 "전문가와 민관정 위원회의 의견이 시에 제출되면 검토하여 받아 들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동권 대덕발전위원회 운영위원은 기고문을 통해 "염홍철 시장과 대전시는 갈팡질팡하는 믿지 못할 도시철도 2호선 건설 계획으로 대전시가 온갖 갈등과 혼란이 무성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역에 균형발전과 더불어 교통 약자편에서 대중교통의 복지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도시의 미관과 함께 지상고가의 방식은 원도심의 상권 저하를 유발할 것이고 이에 생활권침해, 소음과 조망권 등의 일조권이 걸려 있어 시민들에 민사소송이 제기될 것이 자명하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전의 한 시민으로 염 시장에 대해 평소 존경해 왔다"며 "도시철도 건설계획은 한번 들어가면 철거할 수도 없고, 도로의 영구점유하는 문제가 있다며 이 같이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추후 부메랑이 되어 더 큰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 문제는 신중한 결론이 필요한 문제라며 범 시민적 합의를 꼭 산출해 내 결정하기를 바란다"면서 "도시철도 논란을 이제는 불식시킬 때가 왔다. 민선5기 대전시장 출마 공약을 변경하여 차기 민선 시장에게 일임해 줄것을 요구한다"고 덧붙혔다.

금홍섭 대전사회시민단체연대회 대표 겸 대전참여자치연대 정책위원장은 "수단별 수요분석이나 기존 1호선과 시내버스와의 환승 등 지역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채 토목공학적 검토와 기술검토 등 공사편의만 다룬 부실용역이라 는 비판을 받지 않겠냐"고 밝혔다.

그는 또 "시민들이 대부분 지하철방식으로 건설되는줄 안다"며 "대전시가 소통의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다수 시민들이 공감한 건설방식이 정해져야 된다. 유럽에서 보편화되어 시민참여형 정책이 최고의 결정"이라고 덧붙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